티스토리 뷰

병에 대한 정보/근육&뼈

석회성건염 증상 치료 정리

좋은 정보 포스팅 2024. 5. 30. 18:00

석회성 건염(Calcific Tendinitis)은 힘줄에 칼슘이 축적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이 질환은 주로 어깨 관절의 회전근개에 발생하지만, 다른 부위의 힘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석회성 건염은 주로 중년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며, 갑작스러운 통증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. 

 

1. 증상

석회성 건염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, 증상의 강도와 빈도도 다양합니다.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급성 통증: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극심한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. 통증은 어깨를 움직일 때 악화되며, 특히 밤에 심해질 수 있습니다.
  2. 운동 범위 제한: 통증과 염증으로 인해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돌리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3. 근력 약화: 통증으로 인해 어깨 근육의 사용이 줄어들어 근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.
  4. 부기와 압통: 염증 부위가 부어오르고 만지면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.
  5. 만성 통증: 급성 통증이 지나간 후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2. 원인

석회성 건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,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:

  1. 혈류 부족: 힘줄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 칼슘이 침착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  2. 퇴행성 변화: 나이가 들면서 힘줄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고, 이로 인해 석회가 침착될 수 있습니다.
  3. 호르몬 변화: 중년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호르몬 변화가 관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4. 유전적 요인: 가족 중 석회성 건염을 앓고 있는 경우,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  5. 반복적 스트레스: 특정 부위에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힘줄에 석회가 침착될 수 있습니다.

 

3. 진단

석회성 건염의 진단은 주로 임상적 평가와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.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병력 청취: 환자의 증상, 발병 시기, 악화 요인 등을 상세히 청취합니다.
  2. 신체검사: 통증 부위를 직접 만져보고, 어깨의 운동 범위와 근력을 평가합니다.
  3. 방사선 검사(X-ray): 힘줄에 칼슘 침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를 실시합니다.
  4. 초음파 검사: 힘줄의 상태와 석회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사용합니다.
  5. 자기공명영상(MRI): 경우에 따라 힘줄의 상태와 주변 구조물을 평가하기 위해 MRI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4. 치료

석회성 건염의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와 염증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.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1. 보존적 치료:

  • 휴식: 통증이 심한 경우, 어깨를 쉬게 하여 염증과 통증을 줄입니다.
  • 냉찜질과 온찜질: 급성 통증 시 냉찜질을 사용하고, 만성 통증 시 온찜질을 통해 증상을 완화합니다.
  • 약물 치료: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(NSAIDs)를 사용하여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킵니다.
  • 물리치료: 물리치료를 통해 어깨의 운동 범위를 늘리고, 근력을 강화합니다.

2. 비침습적 치료:

  • 충격파 치료(ESWT): 고에너지 충격파를 사용하여 석회를 분해하고 염증을 감소시킵니다.
  • 초음파 유도 주사: 초음파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여 염증을 줄입니다.

3. 침습적 치료:

  • 바늘 흡인술: 초음파 유도 하에 바늘을 사용하여 석회를 흡인하여 제거합니다.
  • 관절경 수술: 관절경을 사용하여 석회를 직접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글 보관함
Total
Today
Yesterday